
다음에 무엇을 해야 할까요? 【결혼식장이 결정되면】 바로 해야 할 일 목록
2018.11.30 게재
첫 번째 관문 통과! 결혼식장이 결정되었습니다!
공식적으로 약혼한 두 사람이 처음으로 진행하는 결혼식 준비라면, 바로 식장 찾기입니다. 수많은 식장 중에서 자신들에게 맞는 분위기의 장소를 몇 군데 선정하고, 휴일을 이용해 견학을 돌며 진행하는 가장 중요한 첫 번째 작업입니다.
식장 찾기에 몇 개월을 소요하는 신랑 신부도 있습니다.
결혼식장이 결정되면 한시름 놓을 수 있습니다. 처음 상담은 대부분의 식장이 본 행사 3~4개월 전부터 시작됩니다.
하지만…
“드디어 결정했어~ 그동안 반 년 정도는 휴식이야~”하고 마음을 놓고 있으면 위험합니다!
결혼식 준비는 본 행사가 가까워질수록 바쁘게 됩니다. 직전에는 할 일이 너무 많아서 “왜 그동안 멍하니 있었는지…” 후회하는 신랑 신부들이 많습니다.
심신 건강하게 결혼식 준비 기간을 보내려면, 스타트 대시가 중요합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결혼식장이 결정되면 우선적으로 진행하고 싶은 항목을 리스트했습니다.
첫 상담까지 미리 진행하고 싶은 사항들을 정리했으니, 식장이 결정된 분들은 참고해 주세요♩
결혼식장이 결정되면 할 일 ① 초대 손님 리스트업 및 연락
결혼식장이 결정되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게스트 리스트 작성입니다. 본 행사 3~4개월 전 첫 회의에 맞춰 인원을 정해 놓으라는 식장도 많지만, 식장 계약 후 바로 확실히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 이유는 두 가지입니다.
첫 번째 이유는, 리스트업을 해보니 의외로 인원이 많거나 적었다는 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른 단계에서라면, 연회장 변경도 가능할 수 있습니다. 본 행사 3~4개월 전이라면, 다른 연회장도 차 버려서 변경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므로, 일찍 파악해 두는 것이 유리합니다.
두 번째 이유는, 초대장을 빨리 확정함으로써 손님들의 일정을 미리 잡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긴 연휴나 3연휴에 결혼식을 계획하고 있는 분들은 손님이 반 년 전에 해외여행 등을 계획해버릴 수 있습니다. “아직 멀었지만, ○월 ○일 결혼식 하니까, 일정 비워두렴”이라고 미리 연락해 두면 좋습니다.
또한 대안일 같은 날은 결혼식이 겹치는 경우도 적지 않으므로, 오고 싶어하는 손님에게는 미리 말을 걸어두세요!
결혼식장이 결정되면 할 일 ② 가지고 오는 요금 확인
결혼식의 견적은 점점 비싸진다는 도시 전설(?!)의 이유 중 하나가, 가져오는 요금입니다. 식장 제휴가 아닌 가게의 드레스나 아이템을 가져올 경우, 가지가는 요금이 발생합니다.
하지만, 식장 견학 시에 다양한 가져오는 요금을 문의한 신랑 신부는 거의 없을 것입니다. (거기까지 신경 쓸 여유가 없겠죠.)
가져오는 요금은 드레스는 한 벌에 최대 10만 엔입니다. 드레스 2벌과 타키시도를 가져오면, 그만으로도 30만 엔 가까이 들 수 있습니다.
드레스나 아이템 상점 둘러보기를 시작하기 전에, 구체적으로 무엇에 얼마의 가져오는 요금이 발생하는지, 잘 확인해 두는 것을 추천합니다.
여러 가지로 시간을 많이 들여 비교 검토했는데, 결국 가져오는 요금이 비싸서 제휴 가게를 이용하게 되었다… 그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