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결혼식과 국내 파티는 얼마나 기간을 두는 것이 보통인가요?【실제 체험담】のトップ画像

해외 결혼식과 국내 파티는 얼마나 기간을 두는 것이 보통인가요?【실제 체험담】

2019.09.05 게재
Aa4c4499 ba0b 4c15 9c3f 510f672896a9

해외에서 결혼식 하는 신부님의 고민 상담.

marry에 이런 고민 상담이 도착했습니다.

******

최근 프로포즈를 받아 이제 결혼식 준비를 시작합니다.

우리는 해외에서 결혼식을 하고 국내에서 피로연을 할 예정인데, 해외 결혼식과 국내 피로연 사이의 기간은 얼마나 두는 것이 일반적일까요??

준비하는 것만 생각하면, 양쪽 모두 의미 있는 좋은 날짜로... 하려니 1년 정도는 두고 싶지만, 해외 결혼식에 초대할 게스트도 있으니

“1년 전에 결혼식 했는데, 이번엔 무슨 축하지...?”

“1년 전에도 혼인신고도 하고 결혼식도 했다면, 이제 새롭지 않지 않아? 왜 결혼식인 거야?”

라고 생각할까봐 고민하고 있습니다.

결혼식과 파티를 나눈 분들은, 언제 결혼식을 하고, 언제 혼인신고를 하고, 언제 피로연을 했나요?? 이런 일정으로 정한 결정적인 이유나 배경도 함께 알고 싶습니다🙇‍♀️💌

******

해외 결혼식과 국내 파티는 얼마나 기간을 두는 것이 보통인가요?【실제 체험담】にて紹介している画像

확실히.

1년 후라면, 조금 늦은 느낌이 들기도 하죠....!

여러분의 경험담을 소개하겠습니다.

답변 8

저는 7월에 혼인신고를 하고, 1개월 후인 8월 하순에 하와이에서 결혼식을 하고, 약 6개월 후인 2월에 국내에서 파티를 했습니다.

하와이 결혼식 준비는 6월쯤 (2개월 전) 시작했고, 파티는 6개월 간 여유롭게 준비를 진행했습니다.

하와이 결혼식을 8월에 한 이유는, 8월 하순이 제 생일이기 때문입니다. 회사 사정으로 그 시기에만 장기 휴가를 받을 수 있어, 적당했어요.

원래는 해외 결혼식만 할 예정이었지만, 나중에 부모님의 권유도 있어 국내에서 파티를 하게 되었습니다.

국내 파티를 하와이 결혼식 후 6개월에 한 이유는, 충분한 준비 기간을 원했기와 3월 이후에는 일이 바빠져서, 그 전까지는 하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해외에 초대할 게스트의 축의금 문제를 생각한다면, 국내 파티는 회비제로 하거나 2차회 형식으로 하는 건 어떨까요?

혼인신고와 시기가 열려 있는 것에 대해서는 그리 신경 쓰지 않아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제 주변에서는 임신 결혼이 많아서, 결혼한 지 1, 2년이 지나도 피로연을 하는 커플이 많이 있어요!

답변 1

내년 6월에 하와이 결혼식을 하고, 귀국 후 9월(3개월 후)에 피로연을 하는 예비 신부입니다✨

우리는 하와이 결혼식의 영상이나 사진을 사용하고 싶었기 때문에, 하와이 결혼식 담당 플래너님께 사진이나 동영상의 납기일을 물어봤더니, 3개월 간격이면 확실하다고 해서 3개월 간격으로 예약했습니다✨😊

참고로 프로포즈는 올해 3/15에, 혼인신고는 5/1에 했으므로, 우리도 혼인신고부터 결혼식까지 1년 이상 간격이 있습니다(笑)

보통은 3년차 정도까지는 신혼이라고 불리니 혼인신고부터의 기간은 신경 쓰지 않아도 좋다고 생각하지만, 결혼식과 피로연의 시기를 6개월 이상 두는 것은 개인적으로 괜찮을까? 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사진이나 동영상 데이터를 사용할 것인지에 따라 다르겠지만, 최소한 피로연은 감사와 앞으로 잘 부탁한다는 의사를 전달하는 자리이므로, 날짜에 집착하기보다는 가능하면 빨리 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복답 2

저희도 해외 결혼식과 귀국 후 파티를 했지만, 어느새 정말 좋게 흘러갔습니다^皿^

8월 쯤 공식적으로 결혼하기로 결정하고, 인사와 얼굴 맞춤을 하면서, 생각했던 결혼식이 현실이 되도록 남자친구와 이야기를 나누고, 정보 수집과 준비를 진행하며, 12월 경에 반년 후인 내년 6월 말에 하와이에서 결혼식을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하와이 결혼식을 6월에 한 이유는, 여름방학 전이어서 여행 경비가 비교적 절약할 수 있고, 저와 남자친구 모두 휴가를 낼 수 있었으며 결혼식장도 비어 있었기 때문에, 우선 가족과 상담하지 않고 예약했습니다.

그 후, 양쪽 부모님과 형제들의 사정도 좋고, 하와이에 오실 수 있게 되어 정말 좋았습니다.

2018년 1-2월 쯤 하와이에서 결혼식 준비를 하면서, 귀국 후 파티 장소를 찾기 시작했고, 좋아하는 곳에서 저렴하게 할 수 있는 날짜가 10월이라 2018년 10월에 귀국 후 파티를 하기로 했습니다.

그렇게 하니 하와이에서의 사진과 동영상 데이터도 완료되어서 귀국 후 파티에서 하와이에서의 사진 및 동영상을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연하장을 귀국 후 파티의 사진도 사용해 제작할 수 있었습니다!

우연히 발생했지만, 나중에 생각해보니 결혼에 관한 행사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날짜에 대해서는 기념일이나 육요일 같은 것은 전혀 신경 쓰지 않았습니다! 혼인신고일도 특별히 고집하지 않고, 하와이 출발일로 정했습니다!!

답변 3

해외(하와이) 결혼식과 국내 피로연은 6개월 간격을 두었습니다.

결혼식의 비디오나 사진 데이터가 도착할 때까지 몇 개월이 필요하므로 여유를 두고 싶었고, 만약 일광욕이 되더라도 6개월이 지나면 하얗게 변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결과적으로 6개월 간격을 둔 것이 딱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답변 4

우리는 프로포즈를 받고 4개월 후에 혼인신고했습니다. 사귀던 날을 혼인신고일로 정했습니다✨

그 후 8개월 후에 하와이에서 가족 결혼식을 가졌고, 그 후 4개월 후에 국내에서 결혼식과 피로연을 모두 진행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해외 결혼식과 국내 결혼식은 너무 먼 감각을 두지 않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1년 간격이 생기면, 해외 결혼식에 온 게스트는 "또 하는 건가?"라는 기분이 들 것이라 생각합니다💦

또한, 준비는 많이 할 수 있지만, 1년 동안 모티베이션을 유지하는 것도 힘들 것 같습니다💦

반대로, 해외 결혼식과 국내 피로연이 너무 가까우면, 해외 가기 전에 국내 피로연 준비를 바쁘게 해야 하거나, 해외 결혼식에서 찍은 사진을 국내에서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조심하는 것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저는 4개월 간격을 두었지만, 해외 결혼식이 끝난 후 본격적으로 국내 결혼식 회의가 시작되고, 초대장 준비가 되어 잘 되었습니다🥰

답변 5

저 역시 해외 결혼식과 국내 피로연을 예정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4월에 해외 결혼식을 먼저 하고, 4개월 후의 8월에 혼인신고. 2개월 후의 10월에 국내 피로연입니다.

해외 결혼식 날짜는 일이 관계로 대형 연휴가 아니면 갈 수 없었기 때문에 처음에는 8월에 예정했으나, 항공권이 구하기 어려운 상황이라 4월 말의 GW로 결정했습니다.

혼인신고일은 사귀던 기념일로 하고 싶어서 그 날로 정했습니다! (그래서 사실은 8월에 결혼식도 하고 싶었습니다.)

국내 피로연에서는 해외 결혼식에서의 동영상을 상영하고 싶었기 때문에, 그것을 기준으로 타이밍을 정했습니다.

데이터 납품은 2개월이면 괜찮다고 해서 10월이 좋고 (제 생일 월이기도 하고, 기후도 최적이기 때문에) 10월로 정했습니다!

결과적으로 해외 결혼식은 4월로 되어 국내 피로연까지는 6개월이 열려 있습니다만, 열려 있어서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8월에 해외 결혼식을 하고, 10월에 국내 파티였다면 이중으로 준비에 쫓겼을 것입니다....(땀)

아무튼 준비가 힘들기 때문에, 갈 수록 준비가 더 잘 될 것 같아요! 너무 멀어지면, 나태해질 것 같기도 하지만...

준비 잘 합시다!!

답변 6

저도 해외 결혼식을 예정하고 있습니다✨ 현재로서는 2020년 3월에 혼인신고, 4월에 친족과 해외 결혼식, 5월에 일본에서 결혼 파티를 합니다🥰

혼인신고는 의미 있는 좋은 날짜지만, 결혼식 날짜와 파티는 오고 싶어하는 사람들의 일정 등을 중요시하므로, 큰 확신 없이 정했습니다🤣 기념일을 늘리는 것이 싫어서요(笑)

사귀던 기념일=혼인신고일 ← 저희의 결혼 기념일로 하려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결혼 파티는 해외 결혼식과 국내 파티에서 초대자는 거의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하려고 합니다😊

두번 초대받은 사람은 둘째 번에는 축하 기분이 약해질 것 같아서요😆 그 대신 해외 결혼식에서의 사진이나 동영상을 파티에서 상영할 예정입니다😋❤️

일본에서 하는 결혼 파티는 1.5차 회의처럼 상당히 자유롭게 오리지널로 하려 합니다😊

해외 결혼식 이후에는 현지에서 간단한 식사 회식을兼披露宴을 할 예정이므로, 부모님께 감사의 선물이나 편지도 전할 계획입니다☺

답변 7

혼인신고 제출이 8월 하순, 해외 결혼식이 10월 하순, 국내 피로연이 12월 상순. 모두 연내에 진행했습니다.

결혼 기념일을 혼인신고일로 두는 분도 있고, 의식을 치른 날로 정하시는 분도 있어, 어느 날을 중시할지가 중요할 것 같습니다.

저는 사귀던 날에 혼인신고를 하고 싶어서 8월의 혼인신고일을 우선 정했습니다.

그 후 모든 가족(해외 결혼식에 참석했던 가족과 남편)들이 휴가를 내기 쉬운 시기를 고려해 10월 결혼식으로 하였습니다.

피로연은 결혼식 사진이 받은 후가 좋겠다고 생각했으므로 1개월 정도는 여유를 두고 싶어서, 솔직히 6월의 주빌리 브라이드를 동경하고 있었지만, 할머니에게 가능한 한 빨리 해달라고 해서 그럼 연내에…라는 것으로 12월로 하였습니다.

피로연은 해외 결혼식에 초대하지 않은 친족만으로 진행했습니다.

친구들은 피로연과 같은 날 진행된 2차회에만 초대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혼한 건 겨울이었지?”라는 인상이 남네요…

어느 정도의 준비는 동시에 진행했으므로, 사진이나 동영상 제작 시기에서 역산하여 진행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3개월~6개월 정도 간격을 두는 것이 인기 있는 것 같습니다.

해외 결혼식과 귀국 후 국내 파티 간은 3개월에서 6개월 정도 간격을 두면,

☑️ 바쁘지 않고,

☑️ 결혼식의 데이터도 받을 수 있을 테니,

☑️ 게스트에게도 신선한 인상을 줄 수 있어

좋다고 생각하는 것이 주요한 것 같습니다*

반대로, 1년 정도의 간격을 두면, 확실히 “계속 결혼식을 하고 있다”는 인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준비를 최소한 3개월씩 한다고 해도, 1년 반이나 예비 신부 생활을 하는 거니까요....!

특별한 날짜에 집착하지 않고 “보통 사람들은 어떻게 하나요??”라고 고민하고 있다면, 해외 결혼식과 국내 파티 사이의 간격은 3개월에서 6개월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해외 결혼식과 국내 파티는 얼마나 기간을 두는 것이 보통인가요?【실제 체험담】にて紹介している画像
@191214_wd

연관 키워드